배포 빈도(deployment frequency)
: 소프트웨어를 얼마나 자주 프로덕션에 배포하는가?리드타임(lead time)
: 개발자가 변경분을 체크인할 때부터 프로덕션에 배포할 때가지 걸린 시간평균 복구 시간(MTTR, Mean Time To Recover)
: 프로덕션 문제 복구에 소요된 시간변경분 실패율
: 프로덕션에 문제를 일으킨 변경분의 비율(%)11.6초
당 한 번씩 프로덕션에 변경분을 배포, 넷플릭스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당 리드 타임이 16분
→ 아마존은 현재에는 거의 0.63초인걸로 알고 있는데 잘 기억이 안나요 ㅠGithub Actions | Jenkins |
---|---|
클라우드가 있으므로 별도 설치 필요 없음 | 서버 설치 필요 |
비동기 CI/CD 달성 | 작업 또는 작업이 동기화되어 제품을 시장에 배포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 |
모든 Github 이벤트에 대한 작업을 제공하고 다양한 언어와 프레임워크 지원 | 계정 트리거를 기반으로 하여 github 이벤트를 준수하지 않는 빌드를 중심으로 함 |
모든 환경과 호환 | 환경 호환성을 위해 도커 이미지에서 실행해야 함 |
캐싱이 필요한 경우 자체 캐싱 메커니즘을 작성해야 함 | 캐싱 메커니즘을 지원하기 위해 플러그인을 사용 |
Github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공유 가능 | 공유 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음. |
젠킨스에 비해 문서가 없음 | 전세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여 문서가 다양 |
업스테이지 AI, Bepro | 페이스북, 넷플릭스, 쿠방, 카페24, 11번가 |